티스토리 뷰
서울시 코로나 자영업 소상공인 100만원, 프리랜서 50만원 지원
서울시·시의회 코로나 재난지원금 8576억원 편성 (자영업,프리랜서,여행업계,운수업계)

- 서울시에서 코로나19로 큰 어려움을 겪고 계시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프리랜서 및 운수업 종사자 및 관광업체에게 위기극복을 위한 자금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12일 가졌던 오세훈 서울시장과 김인호 서울시의회 의장의 공동기자회견에 따르면, 총 8,576억원 규모로 편성된 이번 지원 예산은 역대 최대 규모로 [서울시 민생지킴 종합대책]으로 확정·시행에 들어갑니다.
*자세한 일정은 공고가 올라오는 대로 신속하게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또는, 서울시 홈페이지나 다산 콜센터(120)를 통해서 수시로 확인해보시길 권합니다.
1. 자영업자 임대료 100만원 씩 지원
- 이번 지원 대책에서 가장 많은 재원인 76%의 예산이 소모될 분야는 영세한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임대료 지원에 투입됩니다.
매달 월세를 지불하는 임차 소상공인 50만 명 대상으로 2~3월에 걸쳐서 각 100만 원씩 지원하며, 해당 임대료 지원은 2020년 or 2021년 기준 연 매출 2억원 미만에 현재까지 서울 내 영업 중인 점포여야합니다.
▼자영업자 임대료 지원: 각 100만 원 지원
▼지원자격: 2020년 또는 2021년 기준 매출 2억원 미만 + 현재까지 영업 중인 서울 내 점포
2. 운수업계 고용안정지원금 50만원 지원
- 영업시간 및 승객 감소로 무급휴직에 임금체불까지 빚어지면서 고용불안에 빠진 운수업계 종사자도 설 연휴 전 50만원의 고용안정지원금을 지원합니다.
실제로, 코로나19 대유행 이래 30%에 가까운 영업건수와 승객수의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운수업계는 이러한 지원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운수업계 지원금: 50만 원 고용안전지원금 지원
3. 프리랜서 & 특수종사자 50만원 긴급생계비 지원
- 프리랜서 & 특수형태근로종사자도 약 25만 명이 오는 4~5월에 1인당 50만 원 씩 긴급생계비를 지원 받게 됩니다.
실제로, 해당 직종의 절대다수인 90% 이상이 50~60%정도 소득이 감소했음에도 정부의 손실보상금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며, 실업급여도 받을 수 없는 상황이기에 생계에 어려움이 많습니다.
▼프리랜서 & 특수형태근로종사자: 50만 원 긴급생계비 지원
▼지원자격: 아래의 자격 모두 충족 시 지원 가능
→ 2019년 기준, 연 소득 5,000만 원 이하
→ 전년 대비 25% 소득 감소
→ 고용보험 가입 X
4. 예술인 100만원 생활안정자금 지원
- 공연 및 전시회 취소로 마찬가지로 생계에 위협을 받고있는 예술인 13,000명도 2월부터 1인당 100만 원의 생활안정자금이 지원됩니다.
▼예술인 생활안정자금 지원 100만원
▼자격: 중위소득 120% 이하 예술인
5. 관광업종 업체 300만원씩 지원
- 지난 2년동안 어느 업종보다 어려움에 빠졌던 여행업계(관광업종) 소기업 5,500개사도 업체당 300만원씩 지원금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를 통한 수요 회복을 기대하였으나, 최근 오미크론 변이 등으로 다시 국내외로 빗장이 걸린 상황인 여행업계의 어려움은 그 어느때보다 무거운 상황입니다.
▼여행업계(관광업종) 소기업 지원: 업체당 300만 원 지원
6. 수도요금 절반 감면 & 무이자 대출 지원 계속
- 지난해 5개월 만에 2조원이 소진된 지원책인 4문 안심금융이 이번달부터 총 1조원 규모로 최대 5만명에게 지원됩니다(무이자, 무보증료, 무담보, 무종이서류).
소상공인 수도요금 감면도 지난해 하반기에서 이어지면서 올해도 6개월 연장, 수도 사용량의 50%를 감면하며, 지하철·지하도상가 등 시공공상가 입점 점포 대상으로는 매출 감소율에 따라 최대 60%까지 임대료를 감면합니다.
'긴급재난지원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상공인 자영업자 위한 선지급 손실보상금 지급 (신청방법 등) (0) | 2022.01.19 |
---|---|
부동산 DSR 적용 대출 2억원 부터 (+ 청년월세지원사업) (0) | 2022.01.14 |
서울시 임산부 친환경농산물 지원 (연 48만원씩) (0) | 2022.01.12 |
사회적기업가 육성사업 창업팀 지원 모집합니다 (자금 지원) (0) | 2022.01.11 |
청년마을 만들기 지원 사업 (총 6억원 지원) (0) | 2022.01.11 |